창원구간 트레킹(10코스)

김평진 기자 / 2022-06-27 11:42:13



구산면 마전리 갯벌.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마전리 구서분교 앞은 바로 바닷가 갯벌이다. 이 갯벌 남쪽 석곡리에는 해양드라마세트장이 건립되어 있다. 마전리 갯벌에는 예전에는 염전이 있었다고 한다.
구산면 마전리 갯벌.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마전리 구서분교 앞은 바로 바닷가 갯벌이다. 이 갯벌 남쪽 석곡리에는 해양드라마세트장이 건립되어 있다. 마전리 갯벌에는 예전에는 염전이 있었다고 한다.


[뉴스서울] 남파랑길 창원구간 다섯 번째 코스인 10코스는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항 입구에서 시작하여 월영동 아파트단지를 지나 청량산 숲길로 접어들어 임도를 한참 걸은 뒤 덕동으로 내려온 뒤 서쪽 방향으로 진행하여 구산면 유산리를 통과하고 마전리 구서분교앞사거리까지 연결된 15km가 조금 넘는 거리의 코스이다.



마산항 중앙부두공원 보도교. 마산항 중앙부두, 제1부두, 서항부두는 과거 마산항만의 중심부였으나 2012년 중앙부두 앞 매립지의 해양신도시 건설사업으로 인해 폐쇄되었다. 그 뒤 다양한 테마시설을 갖춘 수변친수공원으로 조성 중이다. 중앙부두의 경우도 공원으로 조성되었고 건너편 매립지인 해양신도시를 연결하는 8자형 사장교 형식의 보도교를 건설하였는데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로 유명해졌다.
마산항 중앙부두공원 보도교. 마산항 중앙부두, 제1부두, 서항부두는 과거 마산항만의 중심부였으나 2012년 중앙부두 앞 매립지의 해양신도시 건설사업으로 인해 폐쇄되었다. 그 뒤 다양한 테마시설을 갖춘 수변친수공원으로 조성 중이다. 중앙부두의 경우도 공원으로 조성되었고 건너편 매립지인 해양신도시를 연결하는 8자형 사장교 형식의 보도교를 건설하였는데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로 유명해졌다.


필자는 마산합포구 월포동 마산항 입구에서 남파랑길 창원구간 9코스 트레킹을 마친 뒤 잠시 휴식을 취하다가 오전 11시 52분 남파랑길 10코스 트레킹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마산항 입구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잡아 걸음을 시작하여 마산항 중앙부두공원과 월포동 마산세관 옛터를 지나면서 이제는 항구로서 기능을 상실한 마산항 중앙부두 인근 바다와 해양매립지를 조망하였다. 필자는 마침 점심시간이 되어서 해운동 드림베이대로에 있는 돼지국밥집에서 오후 12시 20분부터 30여분간 점심식사를 하면서 휴식을 취하였다.



청량산 가는 산길. 남파랑길 10코스는 마산항 입구에서 시작하여 해운동, 월영동 아파트 단지를 지나 청량산 임도로 연결된다. 월영동 고운초교 건너편에 청량산 임도로 올라가는 산길로 이어지는 나무데크 계단길이 있다. 나무데크 계단을 올라가면 청량산 가는 산길이 나오며 산길을 지나면 청량산 숲길 임도로 연결된다.
청량산 가는 산길. 남파랑길 10코스는 마산항 입구에서 시작하여 해운동, 월영동 아파트 단지를 지나 청량산 임도로 연결된다. 월영동 고운초교 건너편에 청량산 임도로 올라가는 산길로 이어지는 나무데크 계단길이 있다. 나무데크 계단을 올라가면 청량산 가는 산길이 나오며 산길을 지나면 청량산 숲길 임도로 연결된다.


오후 12시 50분경 점심식사를 마치고 다시 트레킹을 재개하였다. 오후 1시 해운중학교를 통과하였고 월영동 아파트단지를 지나 오후 1시 7분 고운초등학교를 지나 나무데크 계단을 이용하여 청량산 숲길 임도로 올라갔다. 오후 1시 21분 청량산 입구 임도에 도착하여 1시간 20분 정도 청량산 임도를 트레킹하였다.



청량산 숲길 임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쪽에는 천마산, 청량산 임도를 연결하는 청량산 숲길 임도가 조성되어 있다. 임도이지만 아스팔트 포장이 되어 있고 간간히 우레탄이 깔려있는 구간도 있다. 청량산 임도 중간에는 전망대 정자, 휴식 벤치 등이 있어 휴식하기도 용이하며, 해발고도가 약 300m 정도 되어 산 아래 마산시내, 마창대교, 마산만 등이 한눈에 조망된다.
청량산 숲길 임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쪽에는 천마산, 청량산 임도를 연결하는 청량산 숲길 임도가 조성되어 있다. 임도이지만 아스팔트 포장이 되어 있고 간간히 우레탄이 깔려있는 구간도 있다. 청량산 임도 중간에는 전망대 정자, 휴식 벤치 등이 있어 휴식하기도 용이하며, 해발고도가 약 300m 정도 되어 산 아래 마산시내, 마창대교, 마산만 등이 한눈에 조망된다.


청량산 임도는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어서 걷는 것에는 그리 어려움이 없었고 중간 중간 전망대 정자, 휴식 벤치 등이 있어 휴식하기도 용이하였다. 청량산 숲길 전망대 정자에서는 마산시내가 한눈에 보였고 동쪽으로 가포신항과 마창대교도 한눈에 조망되었다.



구산면 마전리 갯벌.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마전리 구서분교 앞은 바로 바닷가 갯벌이다. 이 갯벌 남쪽 석곡리에는 해양드라마세트장이 건립되어 있다. 마전리 갯벌에는 예전에는 염전이 있었다고 한다.
구산면 마전리 갯벌.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마전리 구서분교 앞은 바로 바닷가 갯벌이다. 이 갯벌 남쪽 석곡리에는 해양드라마세트장이 건립되어 있다. 마전리 갯벌에는 예전에는 염전이 있었다고 한다.


필자는 비가 내리는 청량산 숲길을 우산을 쓰면서 걸었고 마산만과 마산시내, 마창대교를 바라보며 한참을 걸으면서 번뇌와 잡념을 떨쳐내려고 여러 차례 큰 호흡을 하기도 하였다.



청량산 숲길 전망대에서 바라본 가포신항. 마산항 중앙부두, 제1부두, 서항부두가 사실상 부두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후 2015년 가포동에 가포신항을 개장하였다. 가포신항은 돝섬과 마창대교 사이 마산만 입구 서쪽에 있다. 청량산 숲길 임도에 있는 전망대에서는 동북쪽 아래 가포신항이 한눈에 보인다.
청량산 숲길 전망대에서 바라본 가포신항. 마산항 중앙부두, 제1부두, 서항부두가 사실상 부두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후 2015년 가포동에 가포신항을 개장하였다. 가포신항은 돝섬과 마창대교 사이 마산만 입구 서쪽에 있다. 청량산 숲길 임도에 있는 전망대에서는 동북쪽 아래 가포신항이 한눈에 보인다.


오후 2시 20분경 청량산 등산로 출구에 도착하였고 가포날개마을 입구 버스정류장을 지나 가포로를 걸어 오후 2시 40분경 덕동마을에 접어 들었다. 덕동마을에는 조그마한 항구인 덕동항 인근에 카페와 음식점이 많으며 창원시하수도사업소도 위치하고 있다. 필자가 덕동 창원시하수도사업소를 지나 서쪽 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계속 걷다보니 어느덧 덕동삼거리에 도착하였고, 그곳에서 좌회전하여 5분 정도 걸어 오후 3시 8분 유산교를 넘어 우산천을 건너서 마산합포구 구산면 유산리에 접어 들었다.



청량산 임도 전망정자에서 바라본 마창대교. ‘마창대교’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동과 창원시 성산구 귀산동을 잇는 다리로서 길이 1.7km의 왕복 4차로의 사장교인데 2008년 개통되었다. 창원시내에서 가장 큰 대교로 야경이 멋있기로 유명하다. 청량산 임도 전망정자에서는 마창대교와 인근 바다의 풍경이 한눈에 조망된다.
청량산 임도 전망정자에서 바라본 마창대교. ‘마창대교’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동과 창원시 성산구 귀산동을 잇는 다리로서 길이 1.7km의 왕복 4차로의 사장교인데 2008년 개통되었다. 창원시내에서 가장 큰 대교로 야경이 멋있기로 유명하다. 청량산 임도 전망정자에서는 마창대교와 인근 바다의 풍경이 한눈에 조망된다.


오후 3시 10분경 하늘에서 내리는 비의 양도 제법 많아지고 바람도 약간 거세게 불어 필자는 유산삼거리 앞에 있는 편의점에 들러 생수와 간편식을 구매하여 먹으면서 약 10여분 정도 휴식을 취하였다. 편의점 처마 안에서 비를 피하면서 유산천의 빠른 물살과 흙탕물을 보노라니 세상사 혼란한 요지경을 잘 나타내보이는 것 같았다.



가포날개 버스정류장.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본동 남쪽에 ‘가포날개마을’이라는 조그마한 어촌마을이 있다. 이 마을은 폭이 크지 않은 만에 접해 있는데 횟집과 민가 등이 산재해 있다. 마산합포구 가포동과 덕동을 연결하는 가포로 중간에 가포날개 버스정류장이 있는데 버스정류장에서 내려서 가포날개마을로 가기 위해서는 10여분 정도 바닷가로 걸어 내려가야 한다.
가포날개 버스정류장.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본동 남쪽에 ‘가포날개마을’이라는 조그마한 어촌마을이 있다. 이 마을은 폭이 크지 않은 만에 접해 있는데 횟집과 민가 등이 산재해 있다. 마산합포구 가포동과 덕동을 연결하는 가포로 중간에 가포날개 버스정류장이 있는데 버스정류장에서 내려서 가포날개마을로 가기 위해서는 10여분 정도 바닷가로 걸어 내려가야 한다.


다시 발걸음을 재촉하여 유산군령로를 따라 서쪽방향으로 계속 걸어 오후 3시 39분 유산참숯찜질방을 지났고 오후 4시 5분 구산면 마전리에 있는 ‘구산초교 구서분교’에 도착하였다. 구서분교에서 약 5분 정도 더 걸어서 오후 4시 9분 구서분교앞사거리에 도착하여 남파랑길 10코스 우중(雨中) 트레킹을 완료하였다.



덕동삼거리. 마산합포구 덕동마을과 창원시하수도사업소를 지나 서쪽으로 가다보면 덕동삼거리가 나온다. 덕동삼거리에서 남쪽으로 가면 유산교가 나오고 이 유산교를 지나면 구산면 유산리에 접어들게 된다. 
덕동삼거리. 마산합포구 덕동마을과 창원시하수도사업소를 지나 서쪽으로 가다보면 덕동삼거리가 나온다. 덕동삼거리에서 남쪽으로 가면 유산교가 나오고 이 유산교를 지나면 구산면 유산리에 접어들게 된다.


남파랑길 10코스 트레킹 거리는 15.53km 였고, 걸은 시간은 점심식사시간과 휴식시간을 포함하여 4시간 18분이 소요되었다.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마전리에는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가 있다. 1962년 구서분교로 개교하였다가 1964년 구서국민학교로 승격하였으나 1999년 인구 감소로 다시 분교로 격하되었다.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마전리에는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가 있다. 1962년 구서분교로 개교하였다가 1964년 구서국민학교로 승격하였으나 1999년 인구 감소로 다시 분교로 격하되었다.


# 트레킹 코스 :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항 입구(11:52) - 월포동 마산세관 옛터(12:04) - 종가돼지국밥(12:20 ~ 12:51, 점심식사) - 해운중(13:00) - 고운초교(13:07) - 청량산 입구(13:21) - 전망대정자(13:56) - 청량산등산로 출구(14:20) - 가포날개 버스정류장(14:33) - 덕동 창원요양병원(14:44) - 창원시하수도사업소(14:56) - 유산교(15:08) - 구산면 유산리 유산삼거리(15:12) - 유산참숯찜질방(15:39) - 마전리 구서분교(16:05) - 마전입구 버스정류장(16:09)


남파랑길 10코스 트레킹코스 및 기록
남파랑길 10코스 트레킹코스 및 기록


[ⓒ 뉴스서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